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8

[C] fork 함수란? | fork() function in c | 리눅스 들어가기 전에 글을 읽기 귀찮다면 아래 유튜브를 봐도 좋을 것 같다! fork함수 자체만 다루는 한국 영상이 없는 거 같아서 봤는데, 영어 잘 들리고 쉽게 설명해 주신다 ^^ 굿.https://www.youtube.com/watch?v=cex9XrZCU14 🍴 fork() 함수란?fork함수에 대해 궁금하게 된 경로는 C를 공부하다가 또는 리눅스시스템에 대해 공부하다가 일 수 있을 것 같다. fork함수 자체는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호출로,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는 함수이다. fork를 호출하면 현재 프로세스(부모 프로세스)가 복사되어 새로운 프로세스(자식 프로세스)가 생성된다. 🧑‍🧒 부모 프로세스 복사?fork는 부모 프로세스를 복제하여 자식 프로세스를 만드는 것이다. .. 2024. 12. 18.
[잡담] 블챌 마지막날 잡담 오늘은 블챌 마지막 날! 매일 1문제씩 풀기로 했지만, 약 5일 정도는 못풀고 다른 내용 쓴 날도 많은 것 같다. 역시 1일 1문제는 어려워 ㅠ 그래도 덕분에 문제를 많이 풀 수 있었던 것 같다. 취준 때 힘들지 않게 지금부터 ps는 정말 꾸준히 해야할 것 같다. 요즘 갑자기 진로 고민이 상당하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을 할 건 확실한데 어느 분야로 가야할지가 고민이다. 큰덩어리의 흥미는 찾았지만 아직 세부적인 흥미를 찾진 못했다. 아마 내년 복학 전까지 찾지 못하면 백엔드로 취준 하지 않을까 싶다. 뭐든 코딩하는 직업은 사실 다 좋다! ㅎㅎ 2024. 11. 27.
[C] malloc() calloc() 차이점, 동적메모리할당 C 언어에서 동적 메모리 할당은 프로그램 실행 중 필요한 메모리를 런타임에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작업은 힙 메모리(Heap Memory)에서 이루어지며, 대표적으로 malloc()과 calloc() 함수가 사용된다. 1. malloc()malloc()(Memory Allocation)은 메모리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함수이다. 할당된 메모리는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된다. 형태void* malloc(size_t size);size_t size: 할당할 메모리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지정한다.반환값: 성공 시 메모리의 시작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반환하며, 실패 시 NULL을 반환한다.특징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를 할당하므로, 할당된 메모리의 값은 쓰레기 값(Garbage Value)을 포함.. 2024. 11. 26.
[C] C언어에서 힙 메모리와 스택 메모리 이 부분이 궁금한 경우 메모리 할당 부분에서의 궁금증일텐데, 아래 위키피디아가 너무 설명이 잘되어 있어서 먼저 첨부한다!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C%A0%81_%EB%A9%94%EB%AA%A8%EB%A6%AC_%ED%95%A0%EB%8B%B9 동적 메모리 할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적 메모리 할당 또는 메모리 동적 할당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실행 시간 동안 사용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사용이 끝나면 운영체제가 쓸ko.wikipedia.org  위의 사진 처럼 C언어의 메모리 영역 중 스택 메모리와 힙 메모리를 말하는 것이다.1. 스택 메모리 (Stack Memory)스택 메모리는 함수 호출과.. 2024. 11. 25.
[프로그래머스] 자릿수 더하기, C++ 🔗 문제 링크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31✍🏻 문제 설명🤖 코드#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solution(int n){ int answer = 0; int sum = 0; while(n!=0){ sum += (n%10); n/= 10; } answer = sum; return answer;} 2024. 11. 24.
[백준] 주몽(1940), C++ 🔗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1940✍🏻 문제 설명💁🏻‍♀️ 내 풀이 🤖 코드 2024.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