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TIL20 [에러] signal: illegal instruction (core dumped)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를 풀어 테스트를 하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떴다! signal: illegal instruction (core dumped) 가장 의심이 되는 부분은 잘못된 인덱스 접근,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 사용, 포인터를 잘못 참조하는 경우인 거 같다. 나는 vector에 잘못 접근해서 값을 넣어줘서 났던 에러였다. 이럴땐 벡터를 잘 썼는지 확인해보자! 2024. 11. 20. [보안] xz 버전 확인 및 다운 시키기 유닉스 계통 OS의 준표준 압축 라이브러리인 xz의 5.6.0, 5.6.1 버전에서 백도어 코드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를 듣고 버전을 확인 해보니 5.6.1 😅 바로 버전 다운을 시키고 재부팅 했다. 그래서 이제 소식을 접하는 사람들을 위해 터미널로 버전 확인하고, 버전 다운을 시키는 법을 가져왔다! [버전 확인 하는 방법] 둘 중 하나만으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둘 다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고 한다! $ xz --version $ brew info xz [버전 다운 시키는 방법] $ brew upgrade xz 현재 위대로 하면 5.4.6 버전으로 다운이 된다. ⭐️ 그 후에 꼭 버전을 한 번 다시 확인하고, 재부팅을 한 번 하는 걸 추천한다! [자세한 글 참고] https://m.boannews.c.. 2024. 4. 2. [Cloud] 클라우드란?☁️ 클라우드란? 클라우드(클라우드 컴퓨팅)는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 자원, 특히 데이터 저장(클라우드 스토리지)과 컴퓨팅 파워를 필요에 따라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클라우드는 보통 3개의 종류로 나누어 말한다. 먼저 가장 유저가 많은 설정을 해주고 사용하는 IaaS다. IaaS - 가상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 - 사용자는 서버, 네트워킹 기술, 저장소 등의 인프라를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자신의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관리함. - ex. Amazon Web Services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 (GCP) 다음으로는 약간의 설정만 있다면,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들이 많은 PaaS.. 2024. 3. 6. [네트워크] Flow Control && Congestion Control TCP 흐름 제어(Flow Control) 흐름 제어는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수신측이 처리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대표적인 흐름 제어 방법: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수신측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윈도우를 통해 전송을 조절합니다. 수신측에서는 현재 처리 가능한 데이터 양(수신 윈도우)을 송신측에 알립니다. 송신측은 이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측의 버퍼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흐름 제어 프로토콜(Flow Control Protocols) 멈추고 기다리기 (Stop-and-Wait) 각각의 메시지에 대해 확인 응답을 받은 후에 다음 메시지를 전송합니다. 연속적인 스트림 (Continuous Str.. 2024. 1. 6. [오토마타] context free grammar - 문맥 자유 문법(CFG) 정규 언어보다 한 단계 높은 계층, 문맥 자유 언어 "문맥 자유 언어"(context-free language, CFL)는 컴퓨터 과학과 형식 언어 이론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문맥 자유 언어는 특정한 규칙 집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문자열의 집합을 나타내며, 이러한 규칙 집합은 보통 "문맥 자유 문법"(context-free grammar, CFG)이라고 한다. 문맥 자유 문법 (Context Free Grammars) 문맥 자유 문법 정의: 문맥 자유 문법은 4가지의 요소가 있다. G = ( V, Σ, R, S) V: 변수(Variables) 혹은 비단말(Non-terminal)이라고 한다. Σ: 단말(terminal == 알파벳)의 집합이며, 앱실론 ε 을 포함 R: 생성(production.. 2023. 11. 2. [알고리즘] 선택 정렬 알고리즘 즉 선택정렬 알고리즘은 배열에서 가장 작은 (또는 큰) 원소를 찾아서 처음 위치로 옮기고, 나머지 원소 중에서 두 번째로 작은 (또는 큰) 원소를 찾아 두 번째 위치로 옮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배열을 정렬하는 알고리즘 2023. 11. 1. 이전 1 2 3 4 다음